티스토리 뷰

1) 진단방법의 발전
감염질환의 진단

환자로부터 채취한 검체에서 병원성 미생물체를 분리 배양
확인 감별 동정

감염질환을 일으킨 원인 병원성 미생물체를 확인하는 것이 제일 기본적인 실무



배양시간이 너무 길거나, 배양 자체가 안 되거나, 까다로운 바이러스나 다른 여러 가지 미생물의 경우, 분리배양 과정으로 확인이 안 되므로 면역학적인 키트 사용(ELISA)이나 유전자 검색(PCR)으로 바이러스를 포함하여 병원성 미생물의 진단을 발전시켜왔고 금세기에도 사용하고 있다.

2) 백신의 개발
백신의 개발
젠너를 시작으로 파스퇴르가 백신 개발 제조연구기술을 체계적으로 확립시킴
두창 및 소아마비(폴리오) 퇴치에 큰 공을 세웠다.

지석영 선생이 종두소에서 두창예방백신을 제조하여 널리 보급시켜 두창을 예방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.


코로나 19, HIV, SARS, MERS 및 Zika 등의 virus가 출현하여 현재 개발된 백신으로는 예방할 수가 없기 때문에 이에 맞는 별도의 백신 개발이 시급함

백신 : 약독화 백신, 불활화 백신, 성분백신 및 DNA백신 등

보툴리늄(Cl. botulinum) 독소 : 안면근 신경마비, 연하곤란, 구안와사, 신경마비 및 신경성 전도장애 등의 치료와 주름 개선 등의 미용에도 적절히 사용되고 있음

3) 유전자 치료
의학미생물의 새로운 연구 분야로 바이러스나 세균 의 독소를 응용하여 치료 및 미용의 사용을 연구

일부 실용화에 성공하여 사용 중

질병이 생긴 유전자를 정상 유전자로 치환시켜 치료에 도움을 줄 뿐만이 아니라, 동일 질환의 재감염을 예방할 수 있 도록 체질이 개선될 수 있도록 치료용 바이러스를 유 전자 치료에 사용

보툴리늄(Cl. botulinum) 독소

안면근 신경마비
연하곤란
구안와사
신경마비 및 신경성 전도장애 등 의 치료
주름 개선 등의 미용에도 적절히 사용되고 있다.

'Not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공화(共和)  (0) 2023.05.02
소독, 멸균 및 항균제의 발견  (0) 2023.05.01
노인 치매문제  (0) 2023.04.29
노인 학대 문제  (0) 2023.04.28
노인복지와 사회복지  (0) 2023.04.27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