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WEB(webtob)/WAS(Jeus) 설치 후 연동
서버 종료 시작은
START : WEB > WAS
STOP : WAS > WEB
순으로 한다.
1. WebtoB 환경파일 설정
vi /aeae/webtob/config/http.m
1) NODE절에 JSVPORT 설정
JSVPORT = 9900(주석해제, 없으면 입력) - 디폴트 9900
2) SVRGROUP절에 SVRTYPE이 JSV인 서버 그룹 추가
jsvg SVRTYPE = JSV
3) SERVER절에 서버 추가
MyGroup SVGNAME = jsvg, MinProc = 20, MaxProc = 20
쉬프트+q > wq!로 저장후종료
2. WebtoB 환경파일 컴파일
wscfl -i http.m
3. WebtoB 재기동
> wsdown
> wsboot
웹브라우저에서 : http://WEB서버IP:8080/ 로 접근 (8080은 위의 1번에서 지정된 PORT임)
Wsboot 된상태에서
>wsadmin
>si 시 아래와 같이 MyGroup 상태가 NRDY임.
( 제우스설치후 웹투비 연동설정후 다시 확인해보면 연결완료시 RDY상태를 볼 수 있음)
4. 제우스 설치 후
5. startDomainAdminServer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 (안되면 리붓후 재실행)
6. startManagedServer -domain jeus_domain -server server1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잠시 후 프롬프트가 다시 뜨면 JEUS가 제대로 기동된것, 다시 명령어를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는 것을 나타낸다.
7. jeusadmin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8. 웹 브라우저를 열어서 주소 창에 다음의 주소를 입력한다.
http://localhost:9736/webadmin
로그인 administrator / a111111
아래 내용 순서대로 진행.
Ip Address : Webtob 서버의 IP 입력.
Thread Pool의 Number는 웹투비의 vi /root/webtob/config/http.m 설정값에 보면
*SERVER 쪽에 예를들어 아래와같이 MinProc, MaxProc를 50이라 적어줬다면
Ex) www SVGNAME = wwwg, MinProc = 50, MaxProc = 50 라고적어줬다면,
Thread Pool의 Number는 50, min50, max50 으로 적어준다. (자세한 설정은 티맥스매뉴얼참고)
registration-id <=== WebtoB의 SERVER 명과 동일 (ex www)
따라서 여기까지 완료했다면
WAS 종료 : 제우스 콘솔창에서 > local-admin (local-shutdown)으로 제우스 종료 후 exit -> reboot
WEB 종료 : 웹투비 콘솔창에서 wsdown 으로 종료해준다
다시
WEB시작 : 웹투비 콘솔창에서 wsboot
WAS 시작 :
> startDomainAdminServer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 (제우스콘솔 reboot 후 재실행 해줘야 됨)
> startManagedServer -domain jeus_domain -server server1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잠시 후 프롬프트가 다시 뜨면 JEUS가 제대로 기동된것, 다시 명령어를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는 것을 나타낸다. (여기서 failed 뜨면 웹투비,제우스 모두 종료후 다시진행)
> jeusadmin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이렇게 웹투비 재기동 > 제우스 재기동 후 웹투비 콘솔창에서 si 시 아래와 같이 MyGroup 상태가 RDY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참고 technet.tmaxsoft.com
서버 종료 시작은
START : WEB > WAS
STOP : WAS > WEB
순으로 한다.
1. WebtoB 환경파일 설정
vi /aeae/webtob/config/http.m
1) NODE절에 JSVPORT 설정
JSVPORT = 9900(주석해제, 없으면 입력) - 디폴트 9900
2) SVRGROUP절에 SVRTYPE이 JSV인 서버 그룹 추가
jsvg SVRTYPE = JSV
3) SERVER절에 서버 추가
MyGroup SVGNAME = jsvg, MinProc = 20, MaxProc = 20
쉬프트+q > wq!로 저장후종료
2. WebtoB 환경파일 컴파일
wscfl -i http.m
3. WebtoB 재기동
> wsdown
> wsboot
웹브라우저에서 : http://WEB서버IP:8080/ 로 접근 (8080은 위의 1번에서 지정된 PORT임)
Wsboot 된상태에서
>wsadmin
>si 시 아래와 같이 MyGroup 상태가 NRDY임.
( 제우스설치후 웹투비 연동설정후 다시 확인해보면 연결완료시 RDY상태를 볼 수 있음)
4. 제우스 설치 후
5. startDomainAdminServer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 (안되면 리붓후 재실행)
6. startManagedServer -domain jeus_domain -server server1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잠시 후 프롬프트가 다시 뜨면 JEUS가 제대로 기동된것, 다시 명령어를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는 것을 나타낸다.
7. jeusadmin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8. 웹 브라우저를 열어서 주소 창에 다음의 주소를 입력한다.
http://localhost:9736/webadmin
로그인 administrator / a111111
아래 내용 순서대로 진행.
Ip Address : Webtob 서버의 IP 입력.
Thread Pool의 Number는 웹투비의 vi /root/webtob/config/http.m 설정값에 보면
*SERVER 쪽에 예를들어 아래와같이 MinProc, MaxProc를 50이라 적어줬다면
Ex) www SVGNAME = wwwg, MinProc = 50, MaxProc = 50 라고적어줬다면,
Thread Pool의 Number는 50, min50, max50 으로 적어준다. (자세한 설정은 티맥스매뉴얼참고)
registration-id <=== WebtoB의 SERVER 명과 동일 (ex www)
따라서 여기까지 완료했다면
WAS 종료 : 제우스 콘솔창에서 > local-admin (local-shutdown)으로 제우스 종료 후 exit -> reboot
WEB 종료 : 웹투비 콘솔창에서 wsdown 으로 종료해준다
다시
WEB시작 : 웹투비 콘솔창에서 wsboot
WAS 시작 :
> startDomainAdminServer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 (제우스콘솔 reboot 후 재실행 해줘야 됨)
> startManagedServer -domain jeus_domain -server server1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잠시 후 프롬프트가 다시 뜨면 JEUS가 제대로 기동된것, 다시 명령어를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는 것을 나타낸다. (여기서 failed 뜨면 웹투비,제우스 모두 종료후 다시진행)
> jeusadmin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이렇게 웹투비 재기동 > 제우스 재기동 후 웹투비 콘솔창에서 si 시 아래와 같이 MyGroup 상태가 RDY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참고 technet.tmaxsoft.com서버 종료 시작은
START : WEB > WAS
STOP : WAS > WEB
순으로 한다.
1. WebtoB 환경파일 설정
vi /aeae/webtob/config/http.m
1) NODE절에 JSVPORT 설정
JSVPORT = 9900(주석해제, 없으면 입력) - 디폴트 9900
2) SVRGROUP절에 SVRTYPE이 JSV인 서버 그룹 추가
jsvg SVRTYPE = JSV
3) SERVER절에 서버 추가
MyGroup SVGNAME = jsvg, MinProc = 20, MaxProc = 20
쉬프트+q > wq!로 저장후종료
2. WebtoB 환경파일 컴파일
wscfl -i http.m
3. WebtoB 재기동
> wsdown
> wsboot
웹브라우저에서 : http://WEB서버IP:8080/ 로 접근 (8080은 위의 1번에서 지정된 PORT임)
Wsboot 된상태에서
>wsadmin
>si 시 아래와 같이 MyGroup 상태가 NRDY임.
( 제우스설치후 웹투비 연동설정후 다시 확인해보면 연결완료시 RDY상태를 볼 수 있음)
4. 제우스 설치 후
5. startDomainAdminServer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 (안되면 리붓후 재실행)
6. startManagedServer -domain jeus_domain -server server1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잠시 후 프롬프트가 다시 뜨면 JEUS가 제대로 기동된것, 다시 명령어를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는 것을 나타낸다.
7. jeusadmin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8. 웹 브라우저를 열어서 주소 창에 다음의 주소를 입력한다.
http://localhost:9736/webadmin
로그인 administrator / a111111
아래 내용 순서대로 진행.
Ip Address : Webtob 서버의 IP 입력.
Thread Pool의 Number는 웹투비의 vi /root/webtob/config/http.m 설정값에 보면
*SERVER 쪽에 예를들어 아래와같이 MinProc, MaxProc를 50이라 적어줬다면
Ex) www SVGNAME = wwwg, MinProc = 50, MaxProc = 50 라고적어줬다면,
Thread Pool의 Number는 50, min50, max50 으로 적어준다. (자세한 설정은 티맥스매뉴얼참고)
registration-id <=== WebtoB의 SERVER 명과 동일 (ex www)
따라서 여기까지 완료했다면
WAS 종료 : 제우스 콘솔창에서 > local-admin (local-shutdown)으로 제우스 종료 후 exit -> reboot
WEB 종료 : 웹투비 콘솔창에서 wsdown 으로 종료해준다
다시
WEB시작 : 웹투비 콘솔창에서 wsboot
WAS 시작 :
> startDomainAdminServer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 (제우스콘솔 reboot 후 재실행 해줘야 됨)
> startManagedServer -domain jeus_domain -server server1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잠시 후 프롬프트가 다시 뜨면 JEUS가 제대로 기동된것, 다시 명령어를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는 것을 나타낸다. (여기서 failed 뜨면 웹투비,제우스 모두 종료후 다시진행)
> jeusadmin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이렇게 웹투비 재기동 > 제우스 재기동 후 웹투비 콘솔창에서 si 시 아래와 같이 MyGroup 상태가 RDY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참고 technet.tmaxsoft.comSTART : WEB > WAS
STOP : WAS > WEB
순으로 한다.
1. WebtoB 환경파일 설정
vi /aeae/webtob/config/http.m
1) NODE절에 JSVPORT 설정
JSVPORT = 9900(주석해제, 없으면 입력) - 디폴트 9900
2) SVRGROUP절에 SVRTYPE이 JSV인 서버 그룹 추가
jsvg SVRTYPE = JSV
3) SERVER절에 서버 추가
MyGroup SVGNAME = jsvg, MinProc = 20, MaxProc = 20
쉬프트+q > wq!로 저장후종료
2. WebtoB 환경파일 컴파일
wscfl -i http.m
3. WebtoB 재기동
> wsdown
> wsboot
웹브라우저에서 : http://WEB서버IP:8080/ 로 접근 (8080은 위의 1번에서 지정된 PORT임)
Wsboot 된상태에서
>wsadmin
>si 시 아래와 같이 MyGroup 상태가 NRDY임.
( 제우스설치후 웹투비 연동설정후 다시 확인해보면 연결완료시 RDY상태를 볼 수 있음)
4. 제우스 설치 후
5. startDomainAdminServer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 (안되면 리붓후 재실행)
6. startManagedServer -domain jeus_domain -server server1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잠시 후 프롬프트가 다시 뜨면 JEUS가 제대로 기동된것, 다시 명령어를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는 것을 나타낸다.
7. jeusadmin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8. 웹 브라우저를 열어서 주소 창에 다음의 주소를 입력한다.
http://localhost:9736/webadmin
로그인 administrator / a111111
아래 내용 순서대로 진행.
Ip Address : Webtob 서버의 IP 입력.
Thread Pool의 Number는 웹투비의 vi /root/webtob/config/http.m 설정값에 보면
*SERVER 쪽에 예를들어 아래와같이 MinProc, MaxProc를 50이라 적어줬다면
Ex) www SVGNAME = wwwg, MinProc = 50, MaxProc = 50 라고적어줬다면,
Thread Pool의 Number는 50, min50, max50 으로 적어준다. (자세한 설정은 티맥스매뉴얼참고)
registration-id <=== WebtoB의 SERVER 명과 동일 (ex www)
따라서 여기까지 완료했다면
WAS 종료 : 제우스 콘솔창에서 > local-admin (local-shutdown)으로 제우스 종료 후 exit -> reboot
WEB 종료 : 웹투비 콘솔창에서 wsdown 으로 종료해준다
다시
WEB시작 : 웹투비 콘솔창에서 wsboot
WAS 시작 :
> startDomainAdminServer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 (제우스콘솔 reboot 후 재실행 해줘야 됨)
> startManagedServer -domain jeus_domain -server server1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잠시 후 프롬프트가 다시 뜨면 JEUS가 제대로 기동된것, 다시 명령어를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는 것을 나타낸다. (여기서 failed 뜨면 웹투비,제우스 모두 종료후 다시진행)
> jeusadmin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이렇게 웹투비 재기동 > 제우스 재기동 후 웹투비 콘솔창에서 si 시 아래와 같이 MyGroup 상태가 RDY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참고 technet.tmaxsoft.comSTOP : WAS > WEB
순으로 한다.
1. WebtoB 환경파일 설정
vi /aeae/webtob/config/http.m
1) NODE절에 JSVPORT 설정
JSVPORT = 9900(주석해제, 없으면 입력) - 디폴트 9900
2) SVRGROUP절에 SVRTYPE이 JSV인 서버 그룹 추가
jsvg SVRTYPE = JSV
3) SERVER절에 서버 추가
MyGroup SVGNAME = jsvg, MinProc = 20, MaxProc = 20
쉬프트+q > wq!로 저장후종료
2. WebtoB 환경파일 컴파일
wscfl -i http.m
3. WebtoB 재기동
> wsdown
> wsboot
웹브라우저에서 : http://WEB서버IP:8080/ 로 접근 (8080은 위의 1번에서 지정된 PORT임)
Wsboot 된상태에서
>wsadmin
>si 시 아래와 같이 MyGroup 상태가 NRDY임.
( 제우스설치후 웹투비 연동설정후 다시 확인해보면 연결완료시 RDY상태를 볼 수 있음)
4. 제우스 설치 후
5. startDomainAdminServer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 (안되면 리붓후 재실행)
6. startManagedServer -domain jeus_domain -server server1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잠시 후 프롬프트가 다시 뜨면 JEUS가 제대로 기동된것, 다시 명령어를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는 것을 나타낸다.
7. jeusadmin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8. 웹 브라우저를 열어서 주소 창에 다음의 주소를 입력한다.
http://localhost:9736/webadmin
로그인 administrator / a111111
아래 내용 순서대로 진행.
Ip Address : Webtob 서버의 IP 입력.
Thread Pool의 Number는 웹투비의 vi /root/webtob/config/http.m 설정값에 보면
*SERVER 쪽에 예를들어 아래와같이 MinProc, MaxProc를 50이라 적어줬다면
Ex) www SVGNAME = wwwg, MinProc = 50, MaxProc = 50 라고적어줬다면,
Thread Pool의 Number는 50, min50, max50 으로 적어준다. (자세한 설정은 티맥스매뉴얼참고)
registration-id <=== WebtoB의 SERVER 명과 동일 (ex www)
따라서 여기까지 완료했다면
WAS 종료 : 제우스 콘솔창에서 > local-admin (local-shutdown)으로 제우스 종료 후 exit -> reboot
WEB 종료 : 웹투비 콘솔창에서 wsdown 으로 종료해준다
다시
WEB시작 : 웹투비 콘솔창에서 wsboot
WAS 시작 :
> startDomainAdminServer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 (제우스콘솔 reboot 후 재실행 해줘야 됨)
> startManagedServer -domain jeus_domain -server server1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잠시 후 프롬프트가 다시 뜨면 JEUS가 제대로 기동된것, 다시 명령어를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는 것을 나타낸다. (여기서 failed 뜨면 웹투비,제우스 모두 종료후 다시진행)
> jeusadmin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이렇게 웹투비 재기동 > 제우스 재기동 후 웹투비 콘솔창에서 si 시 아래와 같이 MyGroup 상태가 RDY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참고 technet.tmaxsoft.com순으로 한다.
1. WebtoB 환경파일 설정
vi /aeae/webtob/config/http.m
1) NODE절에 JSVPORT 설정
JSVPORT = 9900(주석해제, 없으면 입력) - 디폴트 9900
2) SVRGROUP절에 SVRTYPE이 JSV인 서버 그룹 추가
jsvg SVRTYPE = JSV
3) SERVER절에 서버 추가
MyGroup SVGNAME = jsvg, MinProc = 20, MaxProc = 20
쉬프트+q > wq!로 저장후종료
2. WebtoB 환경파일 컴파일
wscfl -i http.m
3. WebtoB 재기동
> wsdown
> wsboot
웹브라우저에서 : http://WEB서버IP:8080/ 로 접근 (8080은 위의 1번에서 지정된 PORT임)
Wsboot 된상태에서
>wsadmin
>si 시 아래와 같이 MyGroup 상태가 NRDY임.
( 제우스설치후 웹투비 연동설정후 다시 확인해보면 연결완료시 RDY상태를 볼 수 있음)
4. 제우스 설치 후
5. startDomainAdminServer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 (안되면 리붓후 재실행)
6. startManagedServer -domain jeus_domain -server server1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잠시 후 프롬프트가 다시 뜨면 JEUS가 제대로 기동된것, 다시 명령어를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는 것을 나타낸다.
7. jeusadmin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8. 웹 브라우저를 열어서 주소 창에 다음의 주소를 입력한다.
http://localhost:9736/webadmin
로그인 administrator / a111111
아래 내용 순서대로 진행.
Ip Address : Webtob 서버의 IP 입력.
Thread Pool의 Number는 웹투비의 vi /root/webtob/config/http.m 설정값에 보면
*SERVER 쪽에 예를들어 아래와같이 MinProc, MaxProc를 50이라 적어줬다면
Ex) www SVGNAME = wwwg, MinProc = 50, MaxProc = 50 라고적어줬다면,
Thread Pool의 Number는 50, min50, max50 으로 적어준다. (자세한 설정은 티맥스매뉴얼참고)
registration-id <=== WebtoB의 SERVER 명과 동일 (ex www)
따라서 여기까지 완료했다면
WAS 종료 : 제우스 콘솔창에서 > local-admin (local-shutdown)으로 제우스 종료 후 exit -> reboot
WEB 종료 : 웹투비 콘솔창에서 wsdown 으로 종료해준다
다시
WEB시작 : 웹투비 콘솔창에서 wsboot
WAS 시작 :
> startDomainAdminServer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 (제우스콘솔 reboot 후 재실행 해줘야 됨)
> startManagedServer -domain jeus_domain -server server1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잠시 후 프롬프트가 다시 뜨면 JEUS가 제대로 기동된것, 다시 명령어를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는 것을 나타낸다. (여기서 failed 뜨면 웹투비,제우스 모두 종료후 다시진행)
> jeusadmin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이렇게 웹투비 재기동 > 제우스 재기동 후 웹투비 콘솔창에서 si 시 아래와 같이 MyGroup 상태가 RDY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참고 technet.tmaxsoft.com
1. WebtoB 환경파일 설정
vi /aeae/webtob/config/http.m
1) NODE절에 JSVPORT 설정
JSVPORT = 9900(주석해제, 없으면 입력) - 디폴트 9900
2) SVRGROUP절에 SVRTYPE이 JSV인 서버 그룹 추가
jsvg SVRTYPE = JSV
3) SERVER절에 서버 추가
MyGroup SVGNAME = jsvg, MinProc = 20, MaxProc = 20
쉬프트+q > wq!로 저장후종료
2. WebtoB 환경파일 컴파일
wscfl -i http.m
3. WebtoB 재기동
> wsdown
> wsboot
웹브라우저에서 : http://WEB서버IP:8080/ 로 접근 (8080은 위의 1번에서 지정된 PORT임)
Wsboot 된상태에서
>wsadmin
>si 시 아래와 같이 MyGroup 상태가 NRDY임.
( 제우스설치후 웹투비 연동설정후 다시 확인해보면 연결완료시 RDY상태를 볼 수 있음)
4. 제우스 설치 후
5. startDomainAdminServer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 (안되면 리붓후 재실행)
6. startManagedServer -domain jeus_domain -server server1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잠시 후 프롬프트가 다시 뜨면 JEUS가 제대로 기동된것, 다시 명령어를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는 것을 나타낸다.
7. jeusadmin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8. 웹 브라우저를 열어서 주소 창에 다음의 주소를 입력한다.
http://localhost:9736/webadmin
로그인 administrator / a111111
아래 내용 순서대로 진행.
Ip Address : Webtob 서버의 IP 입력.
Thread Pool의 Number는 웹투비의 vi /root/webtob/config/http.m 설정값에 보면
*SERVER 쪽에 예를들어 아래와같이 MinProc, MaxProc를 50이라 적어줬다면
Ex) www SVGNAME = wwwg, MinProc = 50, MaxProc = 50 라고적어줬다면,
Thread Pool의 Number는 50, min50, max50 으로 적어준다. (자세한 설정은 티맥스매뉴얼참고)
registration-id <=== WebtoB의 SERVER 명과 동일 (ex www)
따라서 여기까지 완료했다면
WAS 종료 : 제우스 콘솔창에서 > local-admin (local-shutdown)으로 제우스 종료 후 exit -> reboot
WEB 종료 : 웹투비 콘솔창에서 wsdown 으로 종료해준다
다시
WEB시작 : 웹투비 콘솔창에서 wsboot
WAS 시작 :
> startDomainAdminServer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 (제우스콘솔 reboot 후 재실행 해줘야 됨)
> startManagedServer -domain jeus_domain -server server1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잠시 후 프롬프트가 다시 뜨면 JEUS가 제대로 기동된것, 다시 명령어를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는 것을 나타낸다. (여기서 failed 뜨면 웹투비,제우스 모두 종료후 다시진행)
> jeusadmin -u administrator -p <password>
이렇게 웹투비 재기동 > 제우스 재기동 후 웹투비 콘솔창에서 si 시 아래와 같이 MyGroup 상태가 RDY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참고 technet.tmaxsoft.com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태그 안에 값 더하기 / element.innerHTML (0) | 2023.02.02 |
---|---|
인포메이션 전달 / 정보 전달 (0) | 2023.02.01 |
jeus.server.exceptions.MultipleDomainsException. (제우스 DAS실행시 오류메시지 ) (0) | 2023.01.30 |
Spring 개발환경 셋팅 (0) | 2023.01.29 |
xming (0) | 2023.01.28 |
- 구글우회
- 카카오톡보이스룸
- 쿠팡네베
- 브로드컴회원가입
- 종소세신청
- 영국구글
- 쿠팡카카오페이
- 쿠팡삼성페이결제
- 쿠팡네페결제
- 쿠팡삼페
- 쿠팡카카오페이결제
- 이메일인증
- 개발자계정
- 쿠팡삼성페이결제팡
- 알리개인통관고유부호
- 쿠팡삼성페이
- 회원가입
- 알리개인통관번호
- 종소세기간
- 카카오톡보이스룸알림
- 쿠팡네페
- gl파라미터
- Broadcom
- 계정만들기
- 가입방법
- 브로드컴
- 쿠팡간편결제
- 일본구글
- 종소세신청기간
- 쿠팡네이버페이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